트위터 픽션에서 마법 묘사의 법칙 (필립 마틴) 아네모네123 2017. 9. 12. 19:10 김성일 (물고기) @worldwright 8월 27일더 보기픽션에서 마법 묘사의 법칙 (필립 마틴) http://www.writing-world.com/sf/martin.shtml 1. 마법의 규칙을 일관적으로 만든다. 마법은 확실한 규칙에 따라 작동해야 함. 미리 정의되지 않은 마법을 갑자기 끄집어내지 말 것.김성일 (물고기) @worldwright 8월 27일더 보기2. 마법의 힘을 제한한다. 마법의 힘만큼이나 제약도 중요함. 특정한 행동, 도구, 지식, 여러명의 참여 등, 이야기를 재미있게 만들고 긴장을 강화할 만한 요건이나 제한을 둘 것.김성일 (물고기) @worldwright 8월 27일더 보기3. 마법을 신선하고 흥미롭게 유지한다. 마법은 전기 스토브나 총을 쏘는 것보다 더 재미있어야 한다. 살인 피해자의 뼈로 하프를 만들어 진상을 노래하게 한다거나, 종이 접기로 마법을 일으킨다거나. 심지어 흔한 소품도 신선하게 쓰면 흥미로울 수 있음.김성일 (물고기) @worldwright 8월 27일더 보기4. 마법이 이야기에 중요하도록 만든다. 놀라운 마법적 사건이 일어났는데 캐릭터들은 전혀 변함 없이, 방금 일어난 일을 대충 기억하는 것으로 그침. 마법은 캐릭터에게 큰 영향을 주고 이야기를 재미있게 만들어야 한다. 그냥 쓰고 버리는 카드면 안 됨.김성일 (물고기) @worldwright 8월 27일더 보기5. 감각적 묘사로 마법을 표현한다. 마법이 어떻게 작동하는지, 어떤 느낌인지 묘사할 것. (르귄이 특히 뛰어나니 참고.)김성일 (물고기) @worldwright 8월 27일더 보기6. 마법은 불확정적으로 만든다. 마법이 매우 강력하다면 완전히 이해되지 못하는 것이 옳다. 신비감이 동반되어야 함. 대가, 감정, 문제, 약점, 사고 등을 생각할 것.김성일 (물고기) @worldwright팔로우더 보기7. 사람의 이야기보다 마법을 더 크게 만들지 말 것. 결국 중요한 것은 인간적 요소이지 가상의 마법이 아님.오후 11:36 - 2017년 8월 27일